[태지 구축방법] // default.txt 와 map.txt , 맵추가법
본문
개발 토크 게시판에서 글 쓰고 싶었는데 아직까진 등업도 안되서 여기서 써봅니다 .
관리자님 께서 보시면 개발토크로 글 옮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.
default.txt 의 양식입니다
Q. default.txt 는 무엇을 설정 하는것인가요 ?
태지 통파일 텍스트 문서는 서버 내에서 캐릭터를 처음 만들었을때 해당 캐릭터의
맵, 좌표 , 아이템 , 마법등 기초적인 정보를 설정하는 텍스트 입니다.
일명 기렙,기체,기마,기렙 등을 설정 할 수 있죠.
{
직업:평민 - 기초 캐릭터의 직업명
승급번호:0 - 기초 캐릭터의 승급번호 ( 즉 0차 )
레벨:1- 기초 캐릭터의 레벨 ( 기렙을 설정 하는것 입니다. )
체력:5000 - 기초 캐릭터의 체력 ( 최대 체력이 아닙니다. 잘 구별하세요. )
마력:5000 - 기초 캐릭터의 마력 ( 최대 마력이 아닙니다. 잘 구별하세요. )
최대체력:5000 - 기초 캐릭터의 최대 체력 ( 기체를 설정 하는것 입니다. )
최대마력:5000 - 기초 캐릭터의 최대 마력 ( 기마를 설정 하는것 입니다. )
경험치:0 - 기초 캐릭터의 누적 경험치 ( 필요경험치가 아닙니다. )
필요경험치:20000 - 기초 캐릭터의 필요 경험치 ( 설정한 기렙에서 레벨 업을 할 때 필요한 경험치 입니다. )
돈:9900 - 기초 캐릭터의 보유 금전 량 ( 기돈을 설정 하는것 입니다. )
좌표X:9 - 기초 캐릭터에 처음 들어갔을 때 맵의 위치중 X좌표 ( X,Y )
좌표Y:10 - 기초 캐릭터에 처음 들어갔을 때 맵의 위치중 Y좌표
힘:5 - 설정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.
민:5 - 설정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.
지:5 - 설정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.
스레드:0 - 설정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.
방향:2 - 기초 캐릭터를 처음 들어갔을때 캐릭터의 시선 방향. 딱히 설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.
머리모양:7 - 설정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.
머리색깔:0 - 설정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. 기본 염색을 바꾸고 싶다면 하셔도 무관합니다.
옷:0 - 기초 캐릭터가 기본적으로 갑옷을 착용하도록 하고자 할때는
이곳에 해당 갑옷의 착용코드를 적어 주시면 됩니다. ( Item.txt 확인. )
옷색깔:0 - 설정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. 기본 염색을 바꾸고 싶다면 하셔도 무관합니다.
무기:0 - 기초 캐릭터가 기본적으로 무기을 착용하도록 하고자 할때는
이곳에 해당 무기의 착용코드를 적어 주시면 됩니다. ( Item.txt 확인. )
무기색깔:0 - 설정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. 기본 염색을 바꾸고 싶다면 하셔도 무관합니다.
방패:0 - 기초 캐릭터가 기본적으로 방패을 착용하고자 할때는
이곳에 해당 방패의 착용코드를 적어 주시면 됩니다. ( Item.txt 확인. )
방패색깔:0 - 설정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. 기본 염색을 바꾸고 싶다면 하셔도 무관합니다.
투구:0 - 기초 캐릭터가 기본적으로 투구를 착용하고자 할때는
이곳에 해당 투구의 아이템코드를 적어 주시면 됩니다. ( Item.txt 확인. )
반지1:0 - 기초 캐릭터가 기본적으로 반지를 착용하고자 할때는
이곳에 해당 반지의 아이템코드를 적어 주시면 됩니다. ( Item.txt 확인. )
반지2:0 - 기초 캐릭터가 기본적으로 반지를 착용하고자 할때는
이곳에 해당 반지의 아이템코드를 적어 주시면 됩니다. ( Item.txt 확인. )
귀걸이1:0 - 기초 캐릭터가 기본적으로 귀걸이를 착용하고자 할때는
이곳에 해당 귀걸이의 아이템코드를 적어 주시면 됩니다. ( Item.txt 확인. )
귀걸이2:0 - 기초 캐릭터가 기본적으로 귀걸이를 착용하고자 할때는
이곳에 해당 귀걸이의 아이템코드를 적어 주시면 됩니다. ( Item.txt 확인. )
맵번호:119 - 기초 캐릭터에 처음 들어갔을 때 위치하는 맵의 번호. ( map.txt 확인 )
마법a:7 - 기초 캐릭터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게할 마법의 마법코드.
마법b:8
마법c:15
마법d:12
마법e:13
마법f:36
마법g:0
마법h:0
마법i:0
마법j:0
마법k:0
마법l:0
마법m:0
마법n:0
마법o:0
마법p:0
마법q:0
마법r:0
마법s:0
마법t:0
마법u:0
마법v:0
마법w:0
마법x:0
마법y:0
마법z:0
마법A:0
마법B:0
마법C:0
마법D:0
마법E:0
마법F:0
마법G:0
마법H:0
마법I:0
마법J:0
마법K:0
마법L:0
마법M:0
마법N:0
마법O:0
마법P:0
마법Q:0
마법R:0
마법S:0
마법T:0
마법U:0
마법V:0
마법W:0
마법X:0
마법Y:0
마법Z:0
아이템a:51322 1 - 기초 캐릭터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게할 아이템의 아이템창 코드.
아이템b:49154 1 아이템창 코드 보는법 - 아이템창에서의 아이템 코드는 기본 아이템 코드와는 약간 다르기 때문에
아이템c:0 0 직접 하나하나씩 보셔야합니다. 먼저 서버에 들어가셔서 코드를 보려고 하는 아이템을 원하는 위치에다 놓습니다.
아이템d:0 0 만약 a 에다 놓았다면 잘 기억하시고 최소화 시킨뒤 chr.txt 를 켜서 해당 캐릭터의 정보중 왼쪽과 같은
아이템e:0 0 보유 아이템 정보를 확인합니다. 코드를 확인 하려는 아이템을 놓았던 a 슬롯에 적힌 앞쪽 코드가
아이템f:0 0 해당 아이템의 아이템창코드, 뒤쪽 코드가 해당 아이템의 보유 갯수 입니다.
아이템g:0 0
아이템h:0 0
아이템i:0 0
아이템j:0 0
아이템k:0 0
아이템l:0 0
아이템m:0 0
아이템n:0 0
아이템o:0 0
아이템p:0 0
아이템q:0 0
아이템r:0 0
아이템s:0 0
아이템t:0 0
아이템u:0 0
아이템v:0 0
아이템w:0 0
아이템x:0 0
아이템y:0 0
아이템z:0 0
}
다음은 map.txt 의 양식입니다.
{
맵번호 0 - 해당 맵의 번호입니다. 서버 접속 클라이언트의 maps 속 해당 cmp 파일의 맵번호와 일치하여야 합니다.
ex] 맵파일 : Ba000015.cmp -> 맵번호 15
맵이름 초보말하기의길 - 해당 맵의 이름입니다. 너무 길시 비정상 적으로 나옵니다.
x 20 - 해당 맵의 가로 길이입니다. 해당 cmp 파일의 가로 길이와 꼭 같아야 합니다.
y 20 - 해당 맵의 세로 길이입니다. 해당 cmp 파일의 세로 길이와 꼭 같아야 합니다.
ex] 맵파일 : x 25 y 25 -> map.txt 에도 같은 맵번호, x25 y 25
배경음 1 - 설정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.
부모맵 14 - 설정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.
마법여부(1.가능 2.불가능):1 - 해당 맵에서의 마법 사용가능 여부를 설정하는 것입니다.
소환여부(1.가능 2.불가능):1 - 해당 맵에서의 소환 가능 여부를 설정하는 것입니다. 신의소환은 제약을 받지 않습니다.
출두여부(1.가능 2.불가능):1 - 해당 맵에서의 출두 가능 여부를 설정하는 것입니다. 신의출두는 제약을 받지 않습니다.
pk여부(1.가능 2.불가능):2 - 해당 맵에서의 pk 가능 여부를 설정하는 것입니다. 무한장이나 경쟁 사냥터에 하면 좋겠죠?
출입최소레벨(0없음):0 - 해당 맵의 출입가능 최소 레벨을 설정하는 것입니다. 10으로 해두면 10 이하는 입장이 불가능합니다.
출입최대레벨(0없음):0 - 해당 맵의 출입가능 최대 레벨을 설정하는 것입니다. 100으로 해두면 100 이상은 입장이 불가능합니다.
}
맵이 안보이실경우 이것을 확인하세요.
1. 보이게할 cmp 파일의 맵번호와 해당 맵파일 정보의 맵번호가 일치하는가? ex] 맵파일 : Ba000015 , map.txt : 맵번호 15
2. 보이게할 cmp 파일의 맵크기와 해당 맵파일 정보의 맵크기 설정이 일치하는가? ex] 맵파일의 맵크기 : x20 y20 , map.txt : x20 y20
3. maps 폴더속 해당 cmp 파일이 올바른 컨버팅 프로그램으로 컨버팅 됀것이 맞는가 ? ( map 에서 cmp 파일로 바꾸실 때
확장자 명만 변경 하시면 비정상 적으로 됩니다. map 파일상태에서
컨버팅 프로그램을 통해 cmp 파일로 컨버팅 하시면 됩니다.)
1. 먼저 설정할 map 파일을 올바른 방법으로 cmp 파일로 컨버팅 한다.
2. 맵 컨버팅시 나오는 확인 메시지를 보고 맵 크기와 맵 번호를 잘 확인한다. ( 너비=x 높이=y )
3. 맵이 잘 컨버팅 됬는지를 확인한다. 맵 이름은 항상 사진 아래 cmp 파일의 이름과 같은 형식 이어야 한다. ex) Ba000000.cmp
4. 그렇다면 아까 확인 메시지를 통해 기억 해두었던 맵파일의 정보를 map.txt 에 설정한다.
이때, 맵번호와 맵크기는 특히 주의하여 반드시 맵파일 정보와 동일하게 설정한다.
5. map.txt 에 완벽히 설정을 했다면 추가할 해당 맵파일을 접속할 클라이언트 속 maps 폴더에 기존 것에 겹.쳐.서 넣는다.
6. 해당 maps 폴더가 있는 클라이언트로 해당 서버에 접속한뒤 다시 한 번 확인한다.
따봉
청광검
댓글 목록 2
청광검님의 댓글

New로이님의 댓글
